우리가 말을 할 때 속담을 사용하면 장황한 상황을 한 문장으로 얘기할 수 있어서 이해하는 데 참 편리합니다. 이에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간단하면서도 아주 쉬운 속담을 알아보고 사용하는 연습을 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큰 사람이 되는 길을 알려 주는 속담
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.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은 뒤쳐지지 않고 계속 발전한다는 뜻입니다. |
그림의 떡 아무리 갖고 싶어도 차지하거나 이용할 수 없는 것을 가리켜 쓰는 말입니다. |
달도 차면 기운다. 모든 일이 한껏 잘 될 때가 있으면 안 될 때가 있다는 뜻입니다. |
도둑이 제발 저리다. 잘못한 것이 있으면 누가 뭐라고 하지 않아도 마음이 편치 않다는 뜻입니다. |
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. 잘난 사람이 있으면 그보다 더 잘난 사람도 있으니 겸손할 줄 알아야 한다는 뜻입니다. |
무쇠도 갈면 바늘 된다. 꾸준히 노력하면 아무리 어려운 일도 이룰 수 있다는 뜻입니다. |
좋은 약은 입에 쓰다. 건강에 좋은 약을 입에 쓰듯이 자기에게 이로운 충고는 귀에 거슬린다는 뜻입니다. |
쥐구멍에도 볕들 날 있다. 아무리 어렵고 고생이 심해도 언젠가는 좋은 때가 온다는 뜻입니다. |
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곧이 안 믿는다. 거짓말은 자주 하면 참말을 해도 사람들이 믿지 않는다는 뜻입니다. |
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. 착하고 훌륭한 일을 하면 그 사람의 이름이 후세에 까지 빛난다는 뜻입니다. |
예상치 못한 상황을 들려주는 속담
가는 날이 장날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쓰기고 하고 뜻하지 않게 일이 잘 되었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. |
간에 기별도 안 간다. 음식을 조금밖에 먹지 못해 양에 차지 않을 때 쓰입니다. |
계란에도 뼈가 있다. 운이 나쁜 사람은 무슨 일을 해도 잘 안 풀린다는 뜻입니다. |
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. 힘 센 사람들의 싸움에 아무 관계없는 힘없는 사람이 공연히 피해를 입는다는 뜻입니다. |
꿩 먹고 알 먹고 한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볼 때 쓰입니다. |
내 코가 석 자다. 내 사정이 급해서 남을 돌볼 여유가 없다는 뜻입니다. |
닭 쫓던 개 지붕만 쳐다본다. 한참 애쓰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뜻입니다. |
독안에 든 쥐 아무리 애써도 벗어나지 못하고 꼼짝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을 때 쓰입니다. |
물에 빠진 사람 지푸라기라도 잡는다.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은 무엇이나 닥치는 대로 붙잡고 늘어진다는 뜻입니다. |
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. 참견하는 사람이 많으면 일이 잘 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. |
손바닥 뒤집기 아주 쉬운 일에도 쓰이고 갑자기 태도를 바꾸는 경우에도 쓰입니다. |
아닌 밤중에 홍두깨 누군가 상황에 맞지 않는 엉뚱한 소리를 할 때에 쓰입니다. |
원님 덕에 나발 분다. 다른 사람 덕에 호강하거나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어서 위세를 부릴 때 쓰입니다. |
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. 사이가 좋지 않아 마주치고 싶지 않은 사람을 피할 수 없는 곳에서 만나게 될 때 쓰입니다. |
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. 어떤 것에 한번 혼이 나면 그와 비슷한 것만 보아도 지레 겁을 집어먹게 될 때 쓰입니다. |
종로에서 뺨 맞고,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. 어떤 일을 당한 사람이 그 자리에서는 아무말 못하다가 엉뚱한 곳에 가서 화풀이 한다는 뜻입니다. |
호박이 넝쿨째로 굴러 들어온다. 뜻밖에 좋은 일이 생기거나 좋은 물건을 얻었다는 뜻입니다. |
황소 뒷걸음 치다 쥐 잡는다. 어리석은 사람이 미련한 행동을 하다가 뜻밖에 좋은 성과를 얻었다는 뜻입니다. |
1편에 이어서 2편을 보게 되면 기본적인 속담을 알게 될 것입니다. 어린이들과 함께 읽어 보면서 활용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~~~
'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고1 1학기 중간고사 통합 사회 문제 분석 1(서울 S고등학교) (1) | 2023.05.12 |
---|---|
2024년 대입 학생종합전형 교과와 비교과 전략 (0) | 2023.05.11 |
아주 쉬운 어린이 속담 모음 1 (지혜, 어리석음, 됨됨이, 태도) (3) | 2023.05.10 |
고1 중간고사 한국사 서술형 문제 분석 (0) | 2023.05.09 |
고1 1학기 중간고사 한국사 문제 분석 2 (서울 S고등학교) (1) | 2023.05.09 |
댓글
glesam님의
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!
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,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.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.
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, 결제할 수 있습니다.
글 본문,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,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.
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,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.